|
 |
|
▲ 박선영 기자 |
뉴스는 ‘사실 확인 책임’을 지는 기자의 독점 생산물이었다. 하지만 소셜미디어의 등장으로 상황이 바뀌었다. 누구나 SNS 계정만 만들면 뉴스 유통 플랫폼을 갖게 된 것이다. 이에 따라 사실 확인이 되지 않은 ‘단순 주장’ 또는 ‘거짓 정보’가 뉴스 형식을 띤 채 퍼졌다. 이것이 가짜뉴스다. 가짜뉴스는 SNS 플랫폼을 이용해 악의적·계획적으로 유포된다.
가짜뉴스는 특정 세력의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악용된다. 최근 한국에서 극심한 사회 갈등을 일으킨 사안들 배경에는 가짜뉴스가 있었다.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갈리는 사안에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려는 정치세력들이 가짜 뉴스를 악용한 것이다. 한국이 난민을 받아들이는 데 반대하는 쪽에서 제주도의 예멘 난민과 관련된 거짓 정보를 유포한 것도 한 예다. 예멘 난민이 이미 범죄를 저질렀다는 거짓 정보부터, 난민을 수용한 외국 피해 사례를 조작한 정보까지 모두 뉴스의 형태로 제작돼 SNS를 통해 급속도로 퍼져나갔다. 이를 접한 국민들은 불안에 휩싸였다. 난민을 반대하는 국민 청원이 청와대 게시판에 실렸고, 여론은 반대쪽으로 기울었다. 청와대는 국민의 불안 요소를 참작해 난민법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